수년 전부터 SDN 이라는 기술이 보편화 되어가고 있는데 과연 SDN 은 무엇이고 향후 시장에는 어떤 변화가 있을지에 대한 의문을 던져본다.
SDN 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oftware-defined networking) 을 의미한다. 특정 제품을 의미 하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식을 말한다. 기존 방식인 하드웨어 중심의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 구성 방식이 아닌 가상화를 통한 구성 방식이다. 일반적인 의미를 생각해 보면 네트워크 트래픽을 전달하는 방식이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한 방식이 아닌 소프트웨어 기반의 가상화 시스템을 의미한다. 소프트웨어 정의 시스템으로 구성을 하면 네트워크 관리 측면에서 구성 및 관리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고 더욱 세분화된 보안 정책을 구현 할 수 있는 등 여러 이점이 있다.
하지만 아직 대부분의 네트워크 운영자들은 SDN 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고 경험 또한 많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네트워크 수요(신규 구축이든 장비 교체든)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최근 몇 년 사이 SDN 시장도 많이 커진 것이 사실이다. 새로운 시장이 형성 됨에 따라 네트워크의 여러 영역에도 SDN 기반 기술이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SDN 이라는 개념은 2010년 초반 탄생했다. 물론 개념 자체는 그 이전에 만들어 졌겠지만 실제 네트워크 장비 제조사 들이 장비에 접목하여 상용화 한 시점이 2010년대 초반 이라는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네트워크 가 기존의 방식대로 구성되어 있고 운용되고 있다. 아직까지도 가상화가 접목되지 않은 인프라에 클라이언트 - 서버 방식의 구성과 거기에 애플리케이션 최적화를 통해 설계되고 구축되며 운용 되는 것이다.
하지만 가상화를 구현하고, 클라우드 를 구현함에 있어 전통적인 네트워크 구성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음이 속속 들어나고 있다. 현재 SDN 은 처음 탄생된 시기가 아니다. 이미 초창기를 지나 기술적으로 이미 성숙기 단계에 진입해 있다. 이제는 차세대 라든지 혁신 이라고 하기 보다는 모든 기업 입장에게 현실로 다가왔으며 도입은 선택이 아닌 필수 요소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몇몇 대표 SDN 솔루션을 살펴보자. 먼저 VM웨어의 NSX SDN 제품을 꼽을 수 있는데 이 제품은 니시라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다. 시스코의 경우 센트릭 인프라스트럭처(Application Centric Infrastructure) 가 SDN 상품의 가반이며, 주니퍼 네트웍스(Juniper Networks), 아리스타(Arista), Avaya, Brocade 등 다수의 네트워크 장비 제조사 들은 자체적으로 SDN 상품을 보유하고 있다. SDN 시장은 최근 수 년간 10배 이상 성장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 연구기관에 의하면 2021년에는 지금의 약 2배 규모인 138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가상화에 대한 적극적 투자
네트워크 를 프로그래밍 한다?
가장 수혜를 보는 분야는 보안
'IC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차 산업혁명 이 의미와 정체 (0) | 2017.07.29 |
---|---|
데이터 백업 비용의 현실화 (0) | 2017.07.28 |
IT 인프라 관리 환경의 조건들 (0) | 2017.07.26 |
네트워크 장애 예방이 최선이다 (0) | 2017.07.23 |
구글 크롬 브라우저 업데이트 마음대로 조절하기 (0) | 2017.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