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크롬은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웹 브라우저라고 할 수 있다. 크롬은 과거 한때 웹브라우저 1위인 마이크로소프트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대체할 브라우저로 거듭난 것이다.
하지만 크롬을 사용하던 사용자들의 불만이 터져나오기 시작했다. 그 중 하나가 원치 않는 업데이트다. 원하지 않지만 변경 사항을 강제로 적용하거나, 사용자가 익숙해지기 전에 또 다시 변경이 이루어지는 것에 대한 불만이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자신이 원하는 시기에 업데이트를 하기 위한 방법을 연구해 왔고 그에 대한 결과물을 얻었다.
수동으로 업데이트하기
크롬은 백그라운드에서 자동 업데이트가 된다. 이는 처음 크롬이 출시됐을 때 부터 이 방식을 고수해 왔으며 사용자는 브라우저를 가끔 재시작 하기만 하면 모든 것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크롬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를 실시한다. 구글 자체 문서에 따르면 23시간 20분마다 한 번씩 사용자의 업데이트상태를 확인한다고 한다. 만약 업데이트가 안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새로운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설치 준비를 한다. 준비가 됐다고 해서 바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재시작을 하면 바로 적용이 된다. 하지만 모든 사용자의 크롬이 업데이트를 내놓자 마자 즉시 다운로드 하고 적용되지는 않는다. 한번에 모든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다운로드가 일어난다면 재아무리 구글이라고 해도 엄청난 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트래픽 폭주가 일어날 터이니 며칠 또는 몇 주에 걸쳐 업데이트를 나눠서 다운로드 받도록 하고 있다.
인터넷에 널리 알려진 크롬 자동 업데이트 중단하는 법 해서 포스팅 된 글을 보면 대부분 구글 정책을 잘 못 이해해서 포스팅 된 글을 많이 볼 수 있다. 적혀 있는 그대로 따라해도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소프트웨어의 경우 대부분 자동으로 업데이트를 하는 목적은 단 하나다. 보안에 취약점이 발견되었을 경우 더 안전하게 해당 프로그램을 사용 할 수 있도록 패치하는 경우다. 악성코드가 애플리케이션을 하이재킹하고 PC에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되거나 사례가 발생될 경우 자동 업데이트를 실시한다. 즉, 자동 업데이트를 중단해도 크롬의 업데이트 알고리즘상 액티브 디렉토리의 영구적 업데이트 오프기능은 없다.
다만 PC에서 개인이 자동 업데이트를 중단하는 방법은 존재한다. 실행 파일과 구글 서버와의 연결을 차단하면 된다. GoogleUpdate.exe 파일을 찾아(C:\Program File(x86)\Google\Update)이름을 바꾸면 된다. 이후 크롬을 재시작 하면 업데이가 되질 않는다. 단점은 자동과 수동 모두 업데이트가 되질 않으니 업데이틀 해야할 경우 이름을 다시 GoogleUpdate.exe로 바꿔주면 된다.
크롬의 업데이트 주기
크롬의 관리 중앙집중화
'IC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DN -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에 관한 고찰 (0) | 2017.07.27 |
---|---|
IT 인프라 관리 환경의 조건들 (0) | 2017.07.26 |
네트워크 장애 예방이 최선이다 (0) | 2017.07.23 |
클라우드 와 가상화 에 대처하는 네트워크 엔지니어의 자세 (0) | 2017.07.21 |
입력 인터페이스 마우스 그리고 키보드 계속 존재하는 것일까? (0) | 2017.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