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CT이야기

애플에게 결별을 고하다

애플에게 결별을 고하다

오랬동안 애플의 충성고객이 맥을 버리고 윈도우로 돌아서려한다. 맥에서 윈도우기반 PC 로 갈아탄다는 것은 사방이 꽉막힌 애플 정원의 울타리를 벗어나 넓은 광야로 떠나는 모험과도 같을 것이다. 


이러한 오랜 충성도를 가진 고객이 애플의 맥을 버리고 윈도우 PC로 전환하는 이유는 단 하나, 절망이다. 오랜기간 애플을 사용한 사람들은 아마도 저해상도 모노크롬 디스플레이어와 플로피 드스크 드라이브가 달린 모델을 처음 접했을 것이다. 이후 파워북을 지나 아이북 그리고 맥북, 맥북에어, 맥북프로까지 꾸준히도 애플의 자발적 노예가 되어 주었다.

이렇게 애플의 맥에 푹 빠져있던 고객들이 최근 윈도우 기반의 PC로 돌아서고 있다. 그 이유는 애플 소프트웨어의 불안정성에 있다. 300만원에 달하는 맥북 프로는 하드웨어도 많은 문제를 발생시켰다. 그래픽카드 문제, 속도가 떨어지는 문제, 가끔 발생되는 외장 스토리지의 인식 불량문제 등 수시로 작업에 방해를 불러일으켰다. 또한 가깜은 부팅도 안되는 경우도 있다.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도 SD카드를 포맷할 수 없는 문제도 가끔 겪기도 한다. 이 모든 문제는 맥 OS를 재설치해도 해결되지 않았으며 심지어 특정시점으로 되돌리는 복원을 시도해도 실패하고 말았다. 

좋지않은 경험을 겪은 애플 추종다들은 이제 애플을 버리고 모르고 지내왔던 반대쪽 세계에 논을 돌리기 시작했다. 애플의 주 사용자들은 영화, 음악 프로덕션, 출판, 디자인 등 하드코어한 고급 사용자를 최대한 배려한 제품을 만들고 판매해왔다. 이들도 애플 하드웨어의 성능과 UI(User Interface)에 높은 점수를 부여해 왔다. 하지만 애플의 아이콘 맥 프로 데스크탑은 몇 년 전을 끝으로 더이상 업데이트 되지 않고 있다. 맥북 프로 노트북은 몇 년동안 소소한 업데이트를 가끔 실시하다가 최근 들어 대대적인 개편을 단행했다.

하지만 애초부터 실패한 프로젝트였다. 애플이 출시한 노트북은 과거의 애플처럼 소비자를 흥분시키기는 커녕 짜증을 유발시키고 있다. 헤드폰 잭, 썬더볼트 3 , 디스플레이어 포트 1.2와 USB-C 연결을 제외한 모든 포트가 사라져 기존에 사용중인 주변기기를 계속 사용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동글을 구매해야만 했다. 엎친데 덮친겪으로 새로운 노트북의 처리 성능은 비슷한 가격대의 윈도우 10 기반 기기보다도 못한 성능을 가졌다. 이로써 더이상 맥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를 상실해 버린 것이다.


윈도우 기반 PC에 적응하라

애플에 실망한 사용자들은 애플에게 이별을 고하고 윈도우 기반PC로 전환을 했다. 하지만 문제가 생겼다. 하나의 기기처럼 움직이던 맥북과 아이패드, 아이폰이 이제는 노트북에서 만큼은 이기종으로 분류되어 이방인 취급을 받기도 한다. 하지만 새로운 윈도우 환경에서도 조화롭게 사용이 가능하니 걱정은 없다.

iOS는 안정적인 운영체제이며 앱 스토어에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앱 대부분이 등록되어 있다. iOS 기기는 그 자체로 이미 완성도가 상당히 높아 조금만 신경써 주면 새로운 윈도우 10 PC 와 아무 문제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아이튠스로 iOS기기와 동기화하기

 iOS를 기반으로하는 기기를 사용할 때 모든 음악과 영화를 LTE 환경에서 다운로드할 수도 있지만 데이터 사용량이 제한적이라면 한계가 있을 것이다. 이 때 윈도우용 아이튠스를 이용하면 컴퓨터에서 iOS 기기로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오랜 기간 맥을 사용하면서 아이튠스 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한 모든 음악과 동영상, 팟캐스트를 새 노트북에서 다운로드하고 나면 윈도우 10 PC에서 그대로 모든 콘텐츠를 즐기거나 아이패드, 아이폰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아이패드를 보조 모니터로 사용하기

항상 곁에 두던 아이패드를 보조 모니터로 사용이 가능하다. 라이트닝 또는 30핀 커넥터 케이블, 그리고 15달러짜리 듀엣 디스플레이 앱만 있으면 가능하다. 케이블 구성을 하고 아이튠스 앱 스토어에서 듀엣을 다운로드한 후 함께 재공되는 PC 용 무료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실행하면 바로 보조 모니터로 사용이 가능하다. 와이파이로 컴퓨터와 연결하는 다른 앱들과는 다르게 듀엣은 iOS 기기의 USB 포트를 사용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으로 초당 60프레임의 빠른 성능을 제공하고 있다. 

크로스 플랫폼 환경에서 사용하기 편한 MS 앱들

윈도우 PC를 사용하면서 애플과의 결별을 가장 실감할 때가 아이패드 프로에서 마이크로스프트 오피스를 사용할 때일 것이다. 마이크로스프트 전체 소프트웨어 제품군을 아이튠스 앱 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의 iOS  버전은 모두 무료이며 호환되는 문서와 슬라이드쇼, 그리고 스프레드시트를 자유롭게 볼 수 있다. 하지만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하거나 파일을 편집하려면 오피스365에 가입해야 한다.

하지만 마이크로스프트 프로그램이 모두 유료인 것은 아니다.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좋은 프로그램도 많이 있다. 다ㅔ이터 동기화를 위한 프로그램 뿐 아니라 PC 에 저장된 문서와 사진, 음악을 비롯해 온갖 종류의 파일을 태블릿과 폰에서 이용할 수 있다. 애플과 독립 개발자가 많은 많은 iOS 앱에는 iOS기기에서 윈드라이브로 콘텐츠를 보내는 기능이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아웃룩과 원노트는 모두 무료로 다운로드해 사용할 수 있다. 각각 데스크탑 수준의 이메일, 일정, 메모 기능을 사용가능하다.

그래도 애플만한 동반자가 없다.

대다수가 떠난다고 해도 애플만한 동반다가 없다라고 말하는 유저 또한 상당수 있을 것이다. 남의 떡이 커 보인다고 했다. 사용하면서 에러가 많았다. 성능이 예전만 못하다 는 이유로 결별을 한다고 하지만, 막상 윈도우 PC를 접한 일부 사용자는 괜히 넘어왔다라는 생각을 하기도 한다. 윈도우 기반의 PC에서 종종 겪는 sleep of death 현상을 접하게 되는 순간 그러할 것이다. 엄청난 데이터를 저장없이 작업중 블루스크린을 접하는 순간 더이상 살아갈 이유조차 모름을 실감할 것이다. 
정답은 스스로 내리는 수 밖에 없다. 혹 자는 그래도 애플의 맥을 최고라 부르기도 하고 혹자는 원하는 하드웨어를 조합하여 나만의 PC를 만들 수 있는 윈도우 기반을 선호하기도 한다. 분명한 것은 애플이 스티브 잡스가 떠난 이후 과거 만큼 사용자를 설레이게 하고 마음에 들게 하는 제품도 사라진 것은 아닌지 의문이 든다.
그는 사람들의 설에임 마저도 함께 가지고 떠난 것인가?